[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마을건축사, 골목건축사 전국 지자체 활성화

서울특별시는 ‘공공건축가’ 제도를 운영하고 있지만, 이에 더해 뉴타운 해제 지역을 대상으로 주거지 재생을 위한 비용·인력지원에 나서고 있다. 바로 ‘마을건축가’ 제도다. 위촉된 마을건축가는 지역 내 노후된 개별주택수리와 신축상담을 해주고 있다. 또 서울로2단계 연결길 조성 관련해서는 총괄기획가, 골목건축가 제도 또한 운영하는데, 골목건축가의 경우 ▲ 서울로2단계 연결길에 대한 기본계획수립, 각종 소규모 프로젝트 발굴을 위한 아이디어 제시 등을 제시하며 건축사의 공공성을 강화하는데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시대 요구에 맞는 새 건축서비스분야로 신선하다는 평가다.

각 지자체 공공건축가 제도운영은 전방위 전국으로 확산 중이다. 경북 영주시를 시작으로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가 대열에 합류했고, 올해는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과 전북 전주시가 제1기를 위촉해 운영하고 있다.
모두 건축·도시와 관련한 전반적인 자문에 더해 현 정부 도시재생사업 기획 등 지역 주민과 소통하며, 공공건축이 나아가야 갈 방향을 함께 고민하고 있다. 경기도 용인시, 전라남도 여수시 또한 제도도입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골목건축사·마을건축사 제도 등 지역에 연고를 둔 건축사들이 공공에 직접 투입되는 일이 많아지며, 또 지자체·민간에서 좋은 반응을 이끌어내자 이를 전국화하는 방안도 논의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감지된다.
A건축사는 “서울시의 경우 2011년 공공건축가 제도를 도입해 공공건축물과 정비사업 계획·설계단계에 참여시켜 건축의 공공성과 선진 건축문화를 이끌어내는데 역할을 하고 있다”며 “일본의 경우 화제를 불러 모으는 유명한 건축사도 여럿 있지만, 묵묵히 내 이웃의 집을 짓는 마을건축사가 더 많이 활성화돼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도 지역실정을 잘 아는 지역밀착 마을건축사가 구나 동규모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며 지역밀착형 건축서비스가 탄생토록 시·도건축사회, 지역건축사회가 지자체에 제안을 해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 <공공건축가 제도 운영 지자체 현황>
저작권자 © 대한건축사협회 건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